作者
김태수김동진
发表日期
2010/11
期刊
한국사회체육학회지
卷号
42
期号
2
页码范围
837-847
简介
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중년과 노년기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게 되었다 (Tanaka & Matsuo, 2009). 현재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은 78.63 세로 남자 75.14 세, 여자 81.89 세에 이르고 있다 (보건복지부, 2007). 65 세 이상 전체 인구 중에서 여성의 비율은 59.7% 로 남성의 40.3%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(통계청 2007). 특히 폐경기 이후 여성의 기대여명은 노화의 진행에 따라 남녀 간의 격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(통계청, 2008). 이런 현상은 노령화 사회에 새롭게 나타나는 문제로 볼 수 있으며, 여성 노인 건강에 대한 적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.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체의 생리학적인 변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난다 (Fleg et al., 2005). 이러한 노화즉 생리학적 변화는 제지방의 감소와 체지방의 증가 (Houston, Nicklas & Zizza, 2009), 유산소 능력과 신체활동량 (Sui et al., 2007) 의 감소, 최고 산소섭취량 (VO2 peak) 의 감소 (Fleg et al., 2005), 심박수의 감소 (Stewart, 2005), 심혈관계 질환의 증가 (Pearson et al., 2002), 호흡근과 골격근 …
引用总数
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5122212